수신료 인상 급물살…방송업계 영향은
지상파TV CF효과 월등
MBC·SBS로 이동 가능성
시장경쟁 논리 집착땐
종편·보도채널 연착륙 난망
주부 이민자(56) 씨가 매달 지불하는 KBS 수신료는 2500원. 지난 29일 KBS 이사회의 여당 측 이사가 제시한대로 수신료가 현행 2500원에서 4600원으로 인상되면 이 씨는 매년 2만5200원이 오른 5만5200원을 내야 한다.
이 씨가 추가 지불하는 2만5200원의 향방을 놓고 정치권과 방송업계의 논쟁이 뜨겁다.
수신료를 인상하는 대신 KBS가 광고 비중을 20%로 줄이면, 줄어든 광고비가 종편과 보도채널로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논쟁의 핵심이다.
방송광고시장이 2000년대 이후 사실상 정체상태에 머물러 있고, 당초 광고시장 확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중간ㆍ가상ㆍ간접광고도 여러 현실적인 장벽에 막혀 이렇다할 만한 성적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김은규 우석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도 “수신료 인상이 무산되면 광고시장이 늘어날 수 없는데, 현재 시장 규모로는 종편ㆍ보도채널의 연착륙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형래 공공미디어 연구원도 “종편ㆍ보도채널이 도입되면 엄청난 광고비를 흡수해야 하는데, 이를 확고한 영업망을 갖고 있는 SBS, MBC에서 빼앗아오긴 쉽지 않다. 결국 소규모 채널사업자들의 몫이나 KBS의 줄어든 광고분이 종편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KBS 광고의 종편ㆍ보도채널 흡수설’에 회의적인 의견을 제기하는 전문가도 많다. 지상파 TV의 광고 효과가 타 매체에 비해 현저히 커서 광고주들이 종편보다는 MBC나 SBS로 갈아탈 가능성이 더 크다는 주장이다.
정두남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원은 “광고주 입장에선 광고의 시청자 도달률이 높을 수록 광고 효과가 큰데, KBS 대신 초기 시청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편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이상학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정책과장도 “수신료 인상분의 향방은 쉽게 예측할 수 없다. 종편ㆍ보도채널 등 민간시장으로 빠질지, 광고주가 광고시장을 줄일지는 향후 여러 변수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시중 방통위원회 위원장도 지난 6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에서 “KBS가 광고를 중단해도 곧바로 종편으로 가긴 쉽지 않을 것이다. 광고는 공정한 시장 경쟁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KBS 수신료 이전 효과에 대해 이견을 보이면서도 “수신료 인상분이 KBS 방송의 서비스 개선 효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두남 연구원은 “공공요금을 100% 인상하면서 실제 서비스 인상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이며, 해외에서도 수신료 인상 시 효율성과 절약의 문제를 꼼꼼히 따져서 인상 비율을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9일 정기이사회에서 수신료 인상안 합의에 실패한 KBS이사회는 다음달 4일 간담회와 6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수신료 인상안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m.com
<헤럴드경제, 10/1>
지상파TV CF효과 월등
MBC·SBS로 이동 가능성
시장경쟁 논리 집착땐
종편·보도채널 연착륙 난망
주부 이민자(56) 씨가 매달 지불하는 KBS 수신료는 2500원. 지난 29일 KBS 이사회의 여당 측 이사가 제시한대로 수신료가 현행 2500원에서 4600원으로 인상되면 이 씨는 매년 2만5200원이 오른 5만5200원을 내야 한다.
이 씨가 추가 지불하는 2만5200원의 향방을 놓고 정치권과 방송업계의 논쟁이 뜨겁다.
수신료를 인상하는 대신 KBS가 광고 비중을 20%로 줄이면, 줄어든 광고비가 종편과 보도채널로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논쟁의 핵심이다.
방송광고시장이 2000년대 이후 사실상 정체상태에 머물러 있고, 당초 광고시장 확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중간ㆍ가상ㆍ간접광고도 여러 현실적인 장벽에 막혀 이렇다할 만한 성적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김은규 우석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도 “수신료 인상이 무산되면 광고시장이 늘어날 수 없는데, 현재 시장 규모로는 종편ㆍ보도채널의 연착륙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형래 공공미디어 연구원도 “종편ㆍ보도채널이 도입되면 엄청난 광고비를 흡수해야 하는데, 이를 확고한 영업망을 갖고 있는 SBS, MBC에서 빼앗아오긴 쉽지 않다. 결국 소규모 채널사업자들의 몫이나 KBS의 줄어든 광고분이 종편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KBS 광고의 종편ㆍ보도채널 흡수설’에 회의적인 의견을 제기하는 전문가도 많다. 지상파 TV의 광고 효과가 타 매체에 비해 현저히 커서 광고주들이 종편보다는 MBC나 SBS로 갈아탈 가능성이 더 크다는 주장이다.
정두남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원은 “광고주 입장에선 광고의 시청자 도달률이 높을 수록 광고 효과가 큰데, KBS 대신 초기 시청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편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이상학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정책과장도 “수신료 인상분의 향방은 쉽게 예측할 수 없다. 종편ㆍ보도채널 등 민간시장으로 빠질지, 광고주가 광고시장을 줄일지는 향후 여러 변수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시중 방통위원회 위원장도 지난 6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에서 “KBS가 광고를 중단해도 곧바로 종편으로 가긴 쉽지 않을 것이다. 광고는 공정한 시장 경쟁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KBS 수신료 이전 효과에 대해 이견을 보이면서도 “수신료 인상분이 KBS 방송의 서비스 개선 효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두남 연구원은 “공공요금을 100% 인상하면서 실제 서비스 인상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이며, 해외에서도 수신료 인상 시 효율성과 절약의 문제를 꼼꼼히 따져서 인상 비율을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9일 정기이사회에서 수신료 인상안 합의에 실패한 KBS이사회는 다음달 4일 간담회와 6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수신료 인상안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m.com
<헤럴드경제,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