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광고를 봅니다>>>>>>>>>>>>>>>>>>>>>>>>>>>>>>>>>>>
핑클의 이효리가 필리핀 보라카이 해변에서 시원스런 붉은색 의상을 입고 나타난다.
양팔에 들려 있는 바구니에는 탐스런 망고가 가득 차 있다. 짙푸른 바다와 열대의 쪽빛 하늘이 맞닿은 해변풍경 한 구석에 그림처럼 서 있는 야자수 한 그루가 서늘한 그늘을 만들어낸다. “어머나 세상에 이런 맛이 있다니? 많고 많은 과일 중에 ○○○망고. 이렇게 맛있는 건 난생 첨이야∼.”

톱가수의 노래실력치고는 그야말로 형편없다. 노래는 갈수록 망가진다(?). “세상에 이런 맛이 어쩜 어쩜 몰라 몰라∼.” 어린애 수준인 가사 역시 유치하기 이를 데 없다. 롯데칠성음료가 내놓은 ‘델몬트 망고’ 광고다.
제품은 사라진 따봉시리즈에 비해 >>>>>>>>>>>>>>>>>>>>>>>>>
1990년에 방송을 탔던 델몬트 오렌지주스 광고 ‘따봉 브라질편’은 광고 사상 최대의 빅히트작이었다.
그러나 정작 오렌지주스 상품보다는 오히려 ‘따봉’이란 말만 히트시켰다고 할 수 있다. 주객이 뒤바뀐 것이라고 할까?
그러나 이번 델몬트 망고 광고는 다르다.
포장인 광고는 극히 단순한 대신 내용물인 망고주스는 일대 붐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선보인 국내 첫 망고주스 델몬트 망고는 6월10일 5천만캔을 돌파하며 ‘대박 음료상품’ 대열에 들어섰다.
음료 역사상 단기간 최다 판매기록(출시 2년 만에 10억캔 돌파)을 세운 ‘2% 부족할 때’에 버금가는 기록
국내 전체 음료시장 규모는 줄잡아 1조원인데 한 품목이 무려 14%를 차지하는, 그야말로 대박이 터진 것이다.
망고의 형제들>>>>>>>>>>>>>>>>>>>>>>>>>>>>
시중에 나와 있는 망고주스 상품은 20여 종류를 넘는다.
해태음료는 저과즙 망고음료 ‘쿠바나’
썬키스트 망고’, ‘썬키스트 후레쉬소다 망고맛’
남양유업 ‘트로피컬 망고生(생)’
건영식품은 ‘가야 망고농장’
한국야쿠르트는 ‘망고주스’
동원F&B도 열대과일 음료 ‘타히티’ 시리즈(망고·자몽·키위·파인애플 등 4종류)
일화의 ‘망고망고’, 샤니의 ‘스위트망고’가세
남양유업은 올초 출시한 ‘트로피컬 망고생’으로 별 재미를 보지 못하자
최근 ‘우유 속 진짜 망고 과즙 듬뿍’을 급히 내놓고 망고 붐을 타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망고주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망고 아이스바, 망고 아이스크림, 망고 케이크까지 등장했다.
빙그레는 새로운 열대과일 맛을 내걸고 ‘망고아작’을,
롯데제과는 ‘트로피칼 망고’라는 아이스바를.
크라운베이커리는 ‘망고 무스케이크’,
호텔에서도 여름 칵테일로 ‘매직 망고 스윙’(그랜드하얏트호텔 로비라운지)을 새로 개발했다.
망고주스 시장상황>>>>>>>>>>>>>>>>>>>>>>>>>>>>>>>>
또 한 가지는 국내 과일주스 시장 상황이다. 매실주스와 제주감귤주스에 이어 과즙음료시장을 지배할 뚜렷한 음료가 없던 참에 망고가 때마침 등장해 돌풍을 일으킨 것이다.
업계는 오렌지와 포도의 함량을 퍼센트(%)별로 조절해보기도 하고, 무과당이냐 과당이냐, 알갱이가 들어 있느냐 없느냐, 탄산이 들어가느냐 아니냐 등을 따져 개발 가능한 차별화된 제품을 이미 다 내놓았다.
“동치미 국물까지 이미 개발이 끝났다”고 할 정도다. 여기에 매실·쌀·대추·감귤 등 전통적인 주스 제품도 나올 건 다 나왔다. 다들 한물 가고 소비자들이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시점에 망고가 뛰어들어 폭발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망고는 어떤과일??>>>>>>>>>>>>>>>>>>>>>>>>>>>>>
비스듬한 타원형 공이 약간 눌린 듯한
‘동양 과일의 왕’ 망고는 녹색으로 익으면 붉은 듯 노란색을 띤다.
포도, 바나나, 오렌지, 사과,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세계 5대과일로, 인도가 원산지다.
잘 익은 망고는 맛과 향, 성분에서 말 그대로 ‘태양의 선물’이라고 불린다.
오래전 망고는 원래 있었다>>>>>>>>>>>>>>>>>>>
흥미로운 건 이미 지난 77년에도 젊은 여성 탤런트가 나와 엉덩이를 흔들며 망고를 외치는 광고가 등장했다.
일양식품에서 내놓은 드링크 타입의 ‘망과씨’ 광고였다. 그러나 망과씨는 소비자들의 외면 속에 시장에서 금세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10년 전에 우리가 구아바와 망고 등 열대과일 주스시장을 내다보고 연구·개발에 나섰다. 당시에는 망고과즙 100%에 가까운 제품을 만들려고 시도했는데 망고가 거의 알려져 있지도 않은 때라 거부반응이 많아서 생산단계에서 포기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건영식품도 지난해 새로운 주스상품으로 망고, 홍삼, 키위를 놓고 한창 저울질하다 망고는 아직 시장성이 낮다고 생각해 홍삼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진다.
망고라도 다같은 망고인가?>>>>>>>>
롯데칠성음료는“필리핀산 원료만으로는 부족해 유사한 맛을 가진 다른 나라 망고 원액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반면 건영식품은 “진한 맛을 살리기 위해 망고과즙은 이스라엘산을, 부드럽게 씹히는 망고 알갱이는 필리핀산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건영식품은 망고과즙 46%인 ‘가야 망고농장’을 선보이며 깊고 진한 맛에 승부를 걸고 있다.
거꾸로 해태음료는 과즙이 10% 들어간 ’쿠바나’를 내세워 진한 망고맛보다 시원한 맛을 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 톡 쏘는 느낌을 주는 탄산과 망고맛을 결합한 ‘썬키스트 후레쉬 소다 망고맛’까지 출시했다.
그러나 업계는 콜라, 사이다, 오렌지 등과 달리 망고 붐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망고주스도 ‘한번 왔다 가는’ 음료가 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2003.0802 광고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