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20 13:25

< TV가 늙어간다. >

조회 수 3055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TV가 늙어간다. >

• 젊은 시청자 해마다 이탈… 복고풍 프로 많아져 광고주協관계자 “제과·음료업, TV광고 점차 발빼”

발행일 : 2006.02.17 / 조선일보 종합 A2 면  기고자 : 신동흔  




지난 92년 토·일요일 저녁시간 각 가정의 수돗물 사용량을 줄게 만들었던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는 20~40대 여성 시청률이 38.8~39.3%로 고르게 분포했다. 같은 해 가구 시청률 40%를 기록했던 MBC ‘질투’도 20대 여성 시청률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일은 앞으로 보기 힘들 듯하다. 지난해 히트 드라마 SBS ‘프라하의 연인’과 ‘봄날’을 가장 열심히 본 연령대는 40~50대 여성(20.3%, 23%)이었다. 작년 최고 인기였던 MBC ‘내 이름은 김삼순’도 20대보다는 30대 여성이 가장 많이 본 드라마였다.



요즘 드라마에서는 또 부쩍 ‘그때 그 시절’ 이야기가 많아지고 있다. 이달 초부터 SBS에서 방송되는 ‘사랑과 야망’은 지난 87년 MBC에서 방송된 ‘사랑과 야망’의 리메이크 작이고, 조만간 김수현의 88년 드라마 ‘모래성’, 소설 ‘눈꽃’ 등도 드라마로 다시 만들어진다. KBS ‘서울1945’, 아침드라마 ‘고향역’도 30~50년 전 얘기를 다룬다.

왜 최근 이런 경향이 나타날까. AGB닐슨미디어리서치가 지난 92년 이후 방송 3사 드라마와 메인 뉴스의 세대별 시청점유율을 조사한 결과에 그 해답이 있다. 50대 이상 남녀가 드라마를 보기 위해 TV 앞으로 바짝 다가앉고 있는 반면, 20대 남녀는 TV와 결별하고 있다.〈표 참조〉 50대 이상 여성 점유율은 92년 7.9%에서 2006년 18.8%로, 같은 연령의 남성 시청률은 92년 4.8%에서 11.1%로 훌쩍 증가했다.

반면 20대 여성의 비율은 13.4%에서 9.5%로, 20대 남성 역시 7.0%에서 3.7%로 감소했다. AGB측은 “2000년 이후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의 TV시청이 줄어들면서 장년층이 주요 시청층으로 떠올랐다”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 공중파 4개 채널 전체 시청률의 합계도 92년 44.2%, 2000년 41%에 이어 지난해에는 32.8%까지 떨어져 ‘지상파 이탈’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뤄졌음을 보여줬다. 채지영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젊은 층은 TV 외의 뉴미디어와 각종 대중문화 장르로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는 반면, 젊은 시절부터 드라마를 즐기던 중장년층은 변함없이 TV를 즐겨 보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온 가족이 함께 보는 TV’는 이제 중장년층이 즐겨보는 매체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한국광고주협회 관계자는 “TV가 과거에 비해 광고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을 아는 광고주들이 다른 매체와의 광고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추세”라며 “제과·음료 등 전통적 TV 광고 선호 업종의 광고 감소 현상도 눈에 띈다”고 말했다.

TV 시청층의 노후화가 나타나면서 이들을 겨냥해 과거 자체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도 나타나고 있다. KBS가 지난 10월부터 방송하는 ‘오래된 TV’는 ‘선데이 서울’ ‘담배는 청자, 노래는 추자’ 등 70년대 ‘그때 그 시절’의 흑백 영상을 주로 소개하고 있다. EBS ‘문화사 시리즈’의 ‘명동백작’이나 ‘지금도 마로니에는’ 역시 과거를 상품화한 ‘향수(鄕愁)’ 프로그램이다.

  • ?
    [YET/11] 김준환 2006.02.20 13:32
    인터넷으로 가야 하는 겁니까?
  • ?
    [YET/10] 오세일 2006.02.20 14:12
    ㅎㅎ...그건 TV광고 하구있는 네가 더 잘 알잖아~ 소비자의 트랜드가 변하면 크리에이티브만 바뀔게아니고, 큰틀과 미디어도 맞게 변화되어야지...^^
  • ?
    [YET/19] 김기혜 2006.02.20 18:00
    DMB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볼 필요도 있지않을까요?
    누군가 저에게 미디어과라면 생각좀 해보고 전망 한번 생각해보라고했던 -
  • ?
    [Sharp/15] 김영배 2006.02.21 02:42
    이거 인규의 광고가중계에서도 이야기 되었건 것이네요.
    많은 분들이 이런 추세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가봐요!
  • ?
    [YET/10] 오세일 2006.02.22 09:30
    웅...인터넷이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PC는 물론, DMB,PMP,PDA,네비게이션,TV등 어느 Tool에도 적용이 가능하지...
  • ?
    [Primo/19] 김지은 2006.02.23 16:56
    어? 이거 인규오빠가 한거다!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76 [060401] 2006년 4월 1일 '광고가중계' 5 [YET/16] 오인규 2006.04.04
675 2006 대한민국 대학생 광고경진대회 응모요강 [Sharp/17] 이현주 2006.03.31
674 광고시장 ‘男風’…가전제품-아파트 CF에 남성모델이 뜬다 2 [YET/19] 김기혜 2006.03.21
673 KAMCO 대학생 광고 공모전 [Sharp/18] 이화정 2006.03.21
672 제3회 머시론 대학생 광고 공모전 1 [Sharp/18] 이화정 2006.03.14
671 검색광고, '사기클릭'이 두렵다 [Sharp/18] 이화정 2006.03.13
670 육식이냐 채식이냐…호주광고 ‘별들의 전쟁’ 3 [Sharp/18] 이화정 2006.03.13
669 [060305] 2006년 3월 5일 '광고가중계' [YET/16] 오인규 2006.03.07
668 [뉴스비타민] "A사보다 싼 화장품" 광고 허용 [YET/19] 김기혜 2006.03.04
667 소비자가 뽑은 좋은 광고상 1 [Sharp/15] 김영배 2006.03.04
666 “감각·유머형 광고가 가장 오래 기억된다” 2 [Sharp/18] 이화정 2006.02.28
665 [It’s Design]0.6초의 유혹 브·랜·드 1 [Sharp/18] 이화정 2006.02.28
664 [060225] 2006년 2월 25일 '광고가중계' 2 [YET/16] 오인규 2006.02.26
663 [060218] 2006년 2월 18일 '광고가중계' 2 [YET/16] 오인규 2006.02.22
662 저절로 손님 이끄는 '섹시한 속옷가게 광고' 6 [YET/19] 김기혜 2006.02.20
» < TV가 늙어간다. > 6 [YET/10] 오세일 2006.02.20
660 여성알몸 광고, 참으로 유치합니다! 4 [YET/19] 김기혜 2006.02.15
659 [060211] 2006년 2월 11일 '광고가중계' 3 [YET/16] 오인규 2006.02.13
658 [크라이첵]다가올 미래의 광고회사 모습 4 [Primo/14] 오원택 2006.02.11
657 [060204] 2006년 2월 6일 '광고가중계' 4 [YET/16] 오인규 2006.02.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62 Next
/ 62




2025 . 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