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디지털 전환으로 고품질 지능형 방송에 한 발 더 다가설 것이란 기대도 크지만 지상파의 독과점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상파가 다채널 서비스 MMS(Multi-Mode Service) 도입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MMS는 한 개 방송 주파수 대역(6㎒)에서 HD(고화질) 및 SD(일반화질), 오디오, 데이터 채널 등 다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방송의 디지털 전환 이후 방송신호 압축 기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할당 받은 주파수 대역 내에서 1개에 불과했던 채널을 최대 4개까지 확보할 수 있다.
지상파업계는 그동안 방송플랫폼을 여러 개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꾸준히 MMS 도입을 요구해왔지만 유료방송과 신문업계는 지상파 독과점을 우려해 반대 목소리를 내왔다.
이런 가운데 KBS는 그동안 준비해온 MMS '코리아뷰' 실험방송을 이달부터 추진키로 했다. 코리아뷰는 하나의 채널을 4개(1HD+3SD)로 늘려 방송할 수 있다. KBS 1TV는 수도권에서는 9번 채널이지만 코리아뷰가 실시되면 9-1번, 9-2번, 9-3번, 9-4번 채널로 나눠 방송할 수 있어 KBS가 다수 채널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게 된다.
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지금도 지상파 계열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의 독과점이 심한 상황에서 지상파 채널이 더해지면 광고 독점이 가속화돼 일반 PP의 입지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무료 지상파 채널을 사용하는 만큼 시청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코리아뷰는 KBS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유 주파수를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지상파 채널을 확대하는 것인데, 이는 공영방송의 공공성 추구와도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들도 MMS가 기술적 트렌드라면서도 시장에 미치는 파장이 큰 만큼 지상파 방송의 공익적 성격을 고려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 전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방송학계 한 관계자는 "MMS는 지상파 직접수신 인프라가 허술한 상황에서 자칫 채널수만 느려 지상파를 더욱 비대하게 만들 수 있다"며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좀 더 정책적 방향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MMS는 한 개 방송 주파수 대역(6㎒)에서 HD(고화질) 및 SD(일반화질), 오디오, 데이터 채널 등 다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방송의 디지털 전환 이후 방송신호 압축 기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할당 받은 주파수 대역 내에서 1개에 불과했던 채널을 최대 4개까지 확보할 수 있다.
지상파업계는 그동안 방송플랫폼을 여러 개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꾸준히 MMS 도입을 요구해왔지만 유료방송과 신문업계는 지상파 독과점을 우려해 반대 목소리를 내왔다.
이런 가운데 KBS는 그동안 준비해온 MMS '코리아뷰' 실험방송을 이달부터 추진키로 했다. 코리아뷰는 하나의 채널을 4개(1HD+3SD)로 늘려 방송할 수 있다. KBS 1TV는 수도권에서는 9번 채널이지만 코리아뷰가 실시되면 9-1번, 9-2번, 9-3번, 9-4번 채널로 나눠 방송할 수 있어 KBS가 다수 채널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게 된다.
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지금도 지상파 계열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의 독과점이 심한 상황에서 지상파 채널이 더해지면 광고 독점이 가속화돼 일반 PP의 입지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무료 지상파 채널을 사용하는 만큼 시청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코리아뷰는 KBS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유 주파수를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지상파 채널을 확대하는 것인데, 이는 공영방송의 공공성 추구와도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들도 MMS가 기술적 트렌드라면서도 시장에 미치는 파장이 큰 만큼 지상파 방송의 공익적 성격을 고려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 전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방송학계 한 관계자는 "MMS는 지상파 직접수신 인프라가 허술한 상황에서 자칫 채널수만 느려 지상파를 더욱 비대하게 만들 수 있다"며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좀 더 정책적 방향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