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전사 아내들이 출연한 돼지고기 CF
2006.04.10 21:11
태극전사 아내들이 출연한 돼지고기 CF
조회 수 2839 추천 수 0 댓글 9
-
?
저는 두고두고 볼라구 퍼왔는데 혹시 자세한 분석도 해야하는건가요?;;;;
-
?
아니아니~ 그럴필요 없삼 ㅋㅋ 그냥 자유롭게~^^
근데 이혜원 좀 그르타야~ -_- -
?
나 이거 볼때마다 꿀꿀~꿀꿀꿀 우~리돼지 이거 압박스럽던데-_-
-
?
ㅋㅋ 아물이 봐도....정말 잘 찍었네...
-
?
첨본다. 좀 웃긴다. 종언아, 이런건 광고계뉴스에 올려두되!^^
거기가 좀더 맞는듯하지만 - 뭐 신입이 이렇게 올려서 좋당!!ㅋㅋ -
?
양돈자조금관리위원회? 별개 다있네;; 아내들 왜이리이쁜겨~
-
?
불쌍한 이동국, 돼지 많이 먹고 얼른 나았으면 좋겠다!
그래도 저번에 변정수랑 현영 나오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 -
?
이거 괜찮은데요~ 이동국 진짜 불쌍 ㅠ_ㅠ심바..
-
?
이동국부인님, 이 광고 볼때 슬프겠다.
공지 | [공지] 내가 본 광고 게시판 이용시 썸네일 이미지 필수! | [임원단] 관리자 | 2014.05.26 |
-
No Image
가야금 + Beatbox + DJ + B-Boy
싸이월드 메인에 올라왔드라구요~ㅋ 신입 모집 OT 때 풀버전 보고 놀랬는데 ^^ (전엔 영화관에서만 몇번 봤거덩요~) 혹시 못보신 분들이나 또 보고 싶어하시는 분들을 위해... (실은 제가 보고 또보고 그래서 ㅎㅎ) -
No Image
일본 광고입니다 ^-^
30초까지 무슨 광고인지 맞추시는 분은 정말 대단하신분 ㅋㅋ ※살짝 힌트: 하면 극초반에 아저씨 등판을 보셔요 ㅎ 까만빤스만 입은 아저씨들이 비호감입니다만; (제가 비호감이라 머라 할 순 없고 ㅋㄷㅋㄷ) 음악도 아기자기하구 흰색 바탕에 깔끔하게 만들었... -
No Image
태극전사 아내들이 출연한 돼지고기 CF
태극전사 아내들이 출연한 돼지고기 CF “태극전사 남편 체력엔 돼지고기가 최고죠 2006 독일월드컵을 앞두고 우리나라 축구 국가대표 선수 부인들이 양돈자조금관리위원회가 마련한 돼지고기 판촉 ‘웰빙 3총사’의 CF 모델로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주인공은 골... -
2등이니까 노력하겠다! 가 아니네 [LG텔레콤-동행편]
주말에 문득 티브이를 보다 경악했다. 한석규가 복잡한 기차역을 헤매고 있다. 그런데 왼쪽 상단에 엘지텔레콤이라는 문구가 있다. 뭔가 이상한데.. 한석규가 엘지의 광고에 나올리가 없잖아.라고 생각하고 있던 중. 옆 라인에 다른 기차가 들어온다. "늘 같... - Read More
-
No Image
[060114] 광고분석 가이드라인과 실습예제(장라면)
한국 요쿠르트 <장라면> 광고와 프로모션 분석 가이드라인 1. 언제, 어디서 광고가 집행되었나? 2. 누가 타겟마켓이라고 생각하는가? 타겟마켓에 효과적으로 도달하였는가? 3. 광고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제품을 ... -
No Image
[060114] OVER ANTI 장라면 광고분석입니다!
오버안티는 전체적으로 장라면광고가 메세지 전달이 모호하여 효과적이지 못한 광고였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사실 저는 이 라면이 장에 좋은 라면인줄 알았습니다. 심지어 된장라면인 줄 알았다고 하는 분도 계셨구요. 실제로'장인라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
No Image
[060114] PRIMO ! 장라면 광고 분석
장라면은 일단 라면했을 때 생각나는 탑 브랜드가 아닌 신규브랜드 이므로 이 광고는 브랜드 런칭광고로 생각이 되어집니다. 그래서 일단 인상에 남고 기억에 남는것이 가장 큰 목표이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김수미'를 이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유... -
No Image
[060114] sayYET♡장라면 광고분석^-^
http://www.cyworld.com/freej1102하하 :) 과연 정리되었는지..모르겠지만 열심히 써보겠습니다. 먼저, 저희 YET팀의 분석 결과 장라면은 기존 라면시장이 독점적인 일부 라면 제품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 가운데서 조금 그 이름을 강조하여 인지시키는데 ... -
No Image
[050114] #의 장라면 광고분석>_<!
가이드 라인을 통한 #의 장라면 광고 분석! 일단, 장라면이 유머와 패러디라는 tone & style을 이용하여,각각 김수미와 대장금을 보여주며 타겟이 중장년층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대장금은 중장년층에게 특히 인기있던 드라마였고, 김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