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주협회, 문화체육관광부에 대책 마련 호소
200여 개 회원사로 구성된 한국광고주협회는 인터넷 유사언론 때문에 광고주들의 피해가 크다며 문화체육관광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는 의견서를 냈다고 6일 밝혔다.
협회는 “인터넷 광고 시장이 국내 총 광고비의 18%를 차지할 정도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유사언론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협회는 지난달 초 실시한 광고주 대상 설문조사에서 ▶광고 및 협찬 거부 때 허위 및 음해성 보도 ▶왜곡·과장·선정적인 기사로 광고 강매 ▶기사를 써주고 나서 광고 게재 권유 등 기업들의 다양한 피해 사례가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의견서는 지난달 15일 광고학회와 광고주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세미나 결과 ▶인터넷 신문사 설립과 진입 요건 강화 ▶사이비 언론의 보도에 따른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법률안 검토 등의 대책 방안이 제시됐다며 문화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줄 것을 건의했다.
협회 관계자는 “정부 입법으로 인터넷 유사언론 규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문화부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며, 협회 차원에서도 피해를 막을 대책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중앙일보, 10/7>
200여 개 회원사로 구성된 한국광고주협회는 인터넷 유사언론 때문에 광고주들의 피해가 크다며 문화체육관광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는 의견서를 냈다고 6일 밝혔다.
협회는 “인터넷 광고 시장이 국내 총 광고비의 18%를 차지할 정도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유사언론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협회는 지난달 초 실시한 광고주 대상 설문조사에서 ▶광고 및 협찬 거부 때 허위 및 음해성 보도 ▶왜곡·과장·선정적인 기사로 광고 강매 ▶기사를 써주고 나서 광고 게재 권유 등 기업들의 다양한 피해 사례가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의견서는 지난달 15일 광고학회와 광고주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세미나 결과 ▶인터넷 신문사 설립과 진입 요건 강화 ▶사이비 언론의 보도에 따른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법률안 검토 등의 대책 방안이 제시됐다며 문화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줄 것을 건의했다.
협회 관계자는 “정부 입법으로 인터넷 유사언론 규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문화부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며, 협회 차원에서도 피해를 막을 대책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중앙일보,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