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10 02:56:20
![]() | 작성자 데니 |
안녕하세요. 스마트플레이스 블로거, 데니입니다.
오늘은 이전에 올린 “멋진 웹2.0 쇼핑몰 서비스” 포스트에 이어 소셜 쇼핑(Social Shopping)서비스들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소셜 쇼핑이란 무엇일까요? 모두들 잘 아시겠지만 간단히 정리해 보면, 웹2.0의 주요 키워드 인 “공유”, “참여”, “개방”을 “쇼핑”에 결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소셜 쇼핑 서비스 모델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isNext
.jpg)
ThisNext는 소셜 쇼핑 서비스 중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메인 화면에서 그들의 철학(Real Recommendations from Real Peopl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소셜 북마크 서비스처럼 사용자들이 상품을 발견(discover)하고 자신의 의견(recommend)을 적어 공유하는 서비스 입니다. 덧글을 통해 상품정보에 대한 의견 게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교류를 통해 다양한 상품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해당 상품에 대한 평을 확인한 후 제공되는 링크를 통해 판매처로 이동하여 물건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isNext에서 관심 있는 상품을 발견한 경우 자신의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shopcast 기능을 이용하면 자신의 사이트에 상품 카탈로그를 다양한 형태로 노출할 수 있으며, ThisNext에서 제공하는 API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ThisNext는 정보를 자신들의 서비스에만 활용하지 않고 외부에 공개함으로써 상품정보가 확산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 StyleHive
.jpg)
두 번째로 알아볼 서비스는 StyleHive입니다. StyleHive 또한 ThisNext와 마찬가지로 소셜 북마크 서비스를 접목하여 상품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StyleHive는 ThisNext와 더불어 소셜 쇼핑을 대표하는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StyleHive의 CEO인 마이클 캐리어는 “물건과 쇼핑에 취해 홀린 사람을 위한 소셜 북마크이며, 넓은 의미로는 인터넷에 올라온 최신 정보를 찾아내 공유하는 사이트”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다양한 기능보다는 정말로 필요한 기능만을 단순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CNET 인터뷰 인용)
그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StyleHive는 사용자들이 발견한 쇼핑 정보를 북마크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빠른 시간 안에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서비스로 사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3. 옥션 펌블
.jpg)
마지막으로 국내 업체인 옥션의 펌블을 소개합니다. 2006년 12월에 오픈한 서비스로 펌블 안에 자신의 블로그를 개설한 후 옥션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을 블로그에 소개하여 다른 이용자들과 공유하는 서비스 입니다. 이때 자신의 블로그에서 소개한 상품 링크를 통해 상품이 판매되면 판매금액의 1.5%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재미난 점은 블로그를 단체 형태로 개설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20명 이상의 단체 회원이 하나의 팀 블로그를 개설하여 자신들의 수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옥션의 상품 판매를 높이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ThisNext, StyleHive와 달리 옥션 사용자를 대상으로 내부 상품 정보만을 취급하기에 좀 더 개방적인 서비스가 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물론 옥션의 전략이 잘못되었다는 건 아닙니다. 쇼핑몰을 운영하는 그들의 전략임을 인정하며, 이러한 시도를 했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박수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발전을 기대해 봅니다.
4. 소셜 쇼핑 서비스의 의미
지금까지 세가지 모델을 통해 소셜 쇼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온라인 쇼핑은 인터넷 사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무척 유용할 것입니다. 소셜 쇼핑의 의미는 바로 여기서 출발합니다.
소셜 서비스는 사용자간의 교류에 기반하기에 제공되는 정보들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지금까지 제공되던 공급자에 의한 일방적인 정보를 벗어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작성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소셜의 기치를 내걸고 있는 서비스들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과제도 있습니다. 그건 바로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한 데이터의 질을 높이고 양을 늘리는 문제입니다. 참여가 없으면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빈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방문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 없고 그에 따라 참여율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소셜 쇼핑 모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웹2.0 정신인 공유, 참여, 개방을 통해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으로 상품에 대한 새로운 정보, 가치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교류를 통해 자신과 상품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줍니다. 바로 이것이 소셜 쇼핑 서비스의 매력이 아닐까요?
여러분의 의견은 어떤가요? 여러분의 의견을 트랙백과 덧글을 통해 개진해 주시기를 부탁 드리며 글을 마칩니다.
네이버 지식인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