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에도 유통기한이?? 스타벅스 유통기한은 1년

by [Anti/18] 윤명진 posted Aug 06,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음악에도 유통기한이?? 스타벅스 유통기한은 1년





음악에도 유통기간이 있다면?음악의 ‘품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십년 전에 활동했던 엘비스 프레슬리나 비틀즈가 여전히 수많은 팬을 갖고 있는 걸 보면,또 수백년 전 베토벤과 모짜르트의 곡이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입에서입으로 전해온 구전민요를 21세기 현대인이 계속 흥얼거리는 걸 보면 음악의 유통기간은 거의 무제한인 듯하다.




그러나 커피전문점 스타벅스 매장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에는 유통기간이 존재한다. 딱 1년이다. 미국 스타벅스 본사는 세계 40여개국,9000여개 스타벅스 매장에서 이 ‘유통기간’이 지난 음악을 절대 틀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본사에서 지정한 곡이 아닌 다른 음악을 임의로 매장에서 틀어도 안된다.




우리나라 커피 시장,더 정확히는 도심 여가 시장을 급속히 잠식하고 있는 스타벅스의 핵심 마케팅 기법 중 하나다. 국내 업체인 GS편의점도 비슷한 마케팅 전략을 택했다. 시간대,날씨,매장 내 손님 수 등에 따라 다른 음악을 트는 방식이다.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려는 차별화 전략인 동시에 상품 뿐 아니라 ‘기분’까지 파는 ‘오감(五感) 마케팅’이다.




◇스타벅스 매장 음악은 미국서 ‘공수’




스타벅스 매장에서 들리는 음악은 모두 미국 본사에서 선곡해 배포한 것이다. 매달 한차례 100여곡이 담긴 CD 2∼3장이 각 매장에 공급된다. 한번 배포된 CD는 1년 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정해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매장이 매달 새 CD로 음악을 교체하기 때문에 유통기간은 사실상 한달인 셈이다.




스타벅스 코리아의 마케팅 관계자는 “고객에게 언제나 새로운 음악을 들려줘 매장에 들어서는 순간 신선한 느낌을 받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장 음악은 철저히 계절에 걸맞도록 치밀하게 선곡된다. 주로 흥겨우면서 편안한 재즈 팝 클래식 등이다.




재즈 보컬 노라 존스의 ‘Don’t Know Why’ 등 인기 스타의 히트곡도 포함되지만 아무리 인기 있는 노래라도 유통기간이 나면 두번 다시 스타벅스 매장에서 들을 수 없다.




이 전략은 성공적이다. 서울 여의도의 스타벅스 매장 관계자는 “손님이 종종 매장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의 제목을 묻곤 한다”며 “음악 때문에 찾아오는 손님도 꽤 있다”고 전했다.




◇GS25 편의점의 음악 마케팅




국내 업체로는 GS25 편의점이 스타벅스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다. GS25는 시간대,날씨,매장 내 손님 수 등에 따라 매장 음악을 다르게 선곡한다. 매장 관리자가 GS25 전용 사이트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재생한다. 음원 관리는 전문업체에 따로 맡겼다.




고객이 많지 않은 아침 시간에는 주로 클래식이나 느린 비트의 음악을,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오후 3시∼7시에는 빠른 템포의 활기찬 음악을 튼다. GS25 관계자는 “시간대에 따라 음악을 차별화해 고객이 새로운 느낌을 갖도록 하고 있다”며 “전국 2200여개 매장이 이런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五感 마케팅




스타벅스측은 이를 오감(五感 )을 만족시키는 감성 마케팅이라고 설명한다. 마케팅팀 관계자는 “커피로 고객들의 미각을 만족시킨다면,커피향으로 후각을 자극하고,매장 음악으로 청각을 만족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계 스타벅스 매장은 대부분 커피향이 잘 퍼지도록하는 ‘일(一)자’형 구조로 돼 있다. 고객이 매장에 들어서는 순간커피향을 잘 맡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미국에서는 스타벅스 매장음악 CD를 구입하거나 매장에서 CD를 통째로 구워가는 게 유행하기도 했다. 시애틀 본사에서는 스타벅스 매장 의자 하나라도 임의적으로 바꾸지 못하도록 매뉴얼을 작성했다.




이에 대해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홍성태 교수는 “커피만 파는 게 아니라 문화 자체를 선도하려는 마케팅 기법”이라며 “현대인은 독특한 개성을 찾으면서도 많은 사람과 공유하기를 즐기는 이중적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어 이런 기법이 효과를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Articles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