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디의 끝은 어디인가요? 제작연도 2003년 광고주 IMP코리아 제품명 임프레션 이 정도면 위풍당당하다 못해 뻔뻔하다. 다른 장르도 아니고 동종업계의 아이디어를 통째로 빌려왔으니 얼굴에 철판이라도 깔았음이 분명하다.너무 천연덕스러워 ‘푸하하’ 웃음이 터진다. 눈에 익은 영화장면을 차용한 사례는 수두룩했지만 광고가 광고를 패러디한 것은 머리카락 나고 처음 본다. 무엇을 어떻게 패러디하느냐도 일종의 크리에이티브라고 간주한다면 이번 경우도 발상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반색할 만하다. 그러나 얼마만큼 강력한 반향을 유도하고 있는지는 찬찬히 따져볼 일이다. 광고의 자기 복제를 엿볼 수 있는 사례는 속옷브랜드 ‘임프레션. 임프레션 광고는 극장에서만 선보이는 스크린용인데 보는 이들마다 박장대소한다는 소문이 자자하다. 그럴 법도 하다.시쳇말로 감쪽같은 ‘짝퉁’이기 때문이다. 팬티 차림의 두 남자가 있다.노랗게 머리를 탈색한 한 남자는 저편에서 걸어오고 있고, 검정색 장발의 또 다른 남자는 그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두 사람이 엇갈릴 즈음 노랑머리의 시선이 검정 머리의 어딘가에 살짝 머문다. 이어지는 그의 속엣말은 ‘엉덩이가 장난이 아닌데’. 사실 여기까지 진도가 나가지 않더라도 웃음보는 이미 발동한다. 대한민국 대표미남을 표방한 안정환과 김재원 주연의 화장품브랜드 ‘꽃을 든 남자’ CF를 흉내냈다는 사실을 눈치채는 순간 허파에 바람이 절로 들어간다. 원작에서 김재원이 안정환을 곁눈질하며 ‘피부가 장난이 아닌데’라고 부러움의 속삭임을 들려준 대목이 엉덩이로 바뀌었을 뿐 이 광고는 모델의 생김새, 내용전개 등에서 일란성 쌍둥이를 자처하고 있다. 임프레션은‘광고를 패러디한 광고’라는 독특한 정체성으로 강렬한 첫인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특히 임프레션 광고는 제품의 성격에 맞는 패러디 대상을 잘 찾은 듯 보인다. 남자가 남자의 피부에 반했다라는 ‘꽃을 든 남자’ CF의 설정은 굳이 동성애 코드로 확대 해석하지 않더라도 ‘섹시’한 기운을 폴폴 풍긴다. 그러나 원작은 모델의 지명도만 돌출돼 끈적끈적하면서 매혹적인 발상이 다소 바랜 감이 있었다. 반면 패러디 버전은 ‘당당한 아류’를 표방한 듯 피부와 화장품의 관계를 좀더 노골적인 엉덩이와 팬티의 그것으로 치환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도발적으로 채색하고 있다. 이는 극장 광고라는 주변적 매체의 속성, 젊은 감각의 튀는 속옷을 표방한 제품 컨셉 등과도 잘 맞아떨어진다. 장기적인 호의도 제고에 얼마나 기여할지 미지수지만 히트 광고를 대놓고 베끼는 전략은 게릴라식으로 치고 빠지는 승부로는 괜찮았다. ‘패러디의 한계는 어디인가요?’를 묻는다면 이젠 ‘없다’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나는 나’를 외치는 독창성보다 ‘우리가 남인가요?’라며 영역을 오가는 활동성이 더 돋보이는 시대다. 그러나 이것이 재치의 산물인지 아니면 안이함의 결과인지는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또 익숙한 것의 재탕에 대부분의 감상자가 터뜨릴 웃음이 쓴웃음인지 비웃음인지 함박웃음인지도 구분해야 할 것 같다. 조재원/ <스포츠서울> 기자 jone@sportsseoul.com ----------------------------------------------------------------- 극장서 보고 완전히 뒤집어 졌었죠...ㅋㅋㅋ 대홍기획에서 만들었네요--- 와---조아요조아---^-^* 우리나라도 이런거 마니 나왔음 좋겠당.